본문 바로가기

이야기/지식

다시 알아보는 2008년 금융위기 리먼브라더스 사태.

 

안녕하세요. 유가와입니다.

'2008년 금융위기 리먼브라더스 사태'

를 재조명하기 위해 글을 씁니다. 재미있게 봐주세요.

 

 

 

나스닥 지수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서브 프라임 모기지 사태)는 2000년 초반 IT 버블에서부터 시작되었는데. 2000년 초반에 IT 버블이 가라앉으면서 세계 경제가 급격히 곤두박질을 치게 됩니다. 미국도 예외일 수 없었는데요. 이후로 2001년에 911테러까지 겹치면서 미국은 혼돈의 카오스에 빠지게 됩니다. 

 

 

 

2001년 미국.. 6%대의 높은 기준금리를 유지 중이었고 기준금리 때문에 국채도 높은 이자율을 유지하고 있어서 투자자들은 미국 국채를 매입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미국은 낮은 금리로 국채를 발행하고 싶어 했고 이때 혼돈의 카오스로 인해 경기도 나빠진 상태라 금리를 인하하는 선택을 합니다. 미국 국채에 대한 수요는 높으니 금리 인하를 해도 사겠다는 사람들이 많았으니.. 미국은 시장에 돈을 풀어주게 되는데. 기준 금리를 결정하는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에서 금리를 인하하게 됩니다. 

 

Unsplash

 

 

결국.. 대출을 받는 가계나 기업은 낮은 금리로 은행에서 돈을 빌릴 수 있게 되었고 이와 반대로 저축을 하던 사람들은 은행에 돈을 맡겨도 이자가 적으니 다른 투자를 찾게 됩니다. 그것이 바로 부동산 투자입니다.

 

 

Unsplash

 

 

6%의 금리에서 1~2%의 금리가 되자 부동산이 폭등하기 시작했으며, 사람들은 대출을 받아서 집을 사기 시작했습니다. 이렇게 부동산 가격이 폭등하고 있었기 때문에 은행의 대출이자 정도는 신경 쓸 필요가 없었고 은행들도 쉽게 돈을 벌었으며, 당시에 부동산을 사기 위해 대출해간 사람들 중 연체를 하는 사람이 없었을 정도였습니다. 수많은 은행들이 우량 신용등급 고객들에게 대출을 해주었고 더 이상 대출을 해줄 최상위 등급인 prime이 없게 되자 최상위 등급인 prime의 대출에서 범위를 넓힌 하위 등급인 subprime까지 확대하게 되는데요. (여기서 큰 실수를 범하게 됩니다..)

 

subprime 등급은 오늘. 내일 당장 망해도 이상할게 없는 등급인데. 은행은 부동산 가격만 계속 오른다면 부실 등급도 문제없이 대출금을 값을 것이라는 안일한 판단으로 결국 subprime 등급에게도 대출을 시작하게 됩니다.

 

 

 

돈에 눈이 먼 은행들은 여기서 멈추지 않고 욕심을 부리게 되는데.. 파생상품 mbs, cdo라는 것을 만들어서 매각하게 됩니다.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은 부동산에 거품이 계속 커져만 가는 사태를 더 이상 간과할 수 없게 되자 기준 금리를 인상하게 되는데 이는 부동산을 매수하려는 사람들 보다 매도하려는 사람들이 늘어나게 되고 부동산 가격은 떨어지게 되었습니다..

 

 

 

 

이는 subprime 등급 채무자들에게 사형선고가 떨어진 것이나 다름이 없었는데.. subprime 등급의 채무자들은 신용도가 낮아 우량등급보다 높은 대출 이자율을 감당하기 위해서는 집값이 올라야 하는데. 부동산 가격이 떨어진 시점에서 시세차익으로 인한 이익을 더 이상 누릴 수 없게 된 것이죠.

 

이렇게 다들 부동산 시장에서 빠져나가기 위해 가격을 낮추기 시작했고 계속 낮아지자 부동산 담보 대출을 받은 채무자들이 결국 파산 신청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채무자들의 파산신청은.. 157년의 역사를 가졌으며, 미국의 4대 투자 은행으로 불린 리먼 브라더스가 사라지는 계기가 되었는데. 6700억 달러 규모의 파산신청을 했다고 합니다. (한화 약 700조 원)

 

리먼브라더스의 파산으로 인해 리먼브라더스에 돈을 맡긴 사람들과 다른 투자은행들도 도미노처럼 무너졌고 이 사태는 결국 전 세계로 번지게 됩니다.

 

 

 

 

참고로 중국, 호주, 한국을 제외한 거의 모든 나라가 마이너스 경제성장률을 기록했다고 합니다.